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통일 국책연구기관,
|
통일연구원, ‘북한인권정보 플랫폼’ 공개 |
||
1. 통일연구원(원장 김천식)은 북한인권 관련 국내외 정보를 한눈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북한인권정보 플랫폼(https://www.kinu.or.kr/nkhr)을 2월 13일부터 제공한다.
2. 북한인권정보 플랫폼은 유엔‧한국‧개별국가‧NGO가 생산한 문서를 발간 주체별로 분류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 유엔총회, 유엔인권이사회 등 유엔 기구별로 북한인권정보를 분류하여 제공
❍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북한인권특별보고관 보고서, 보편적 정례 인권검토(UPR) 보고서, 조약기구의 국가보고서와 심의자료 등을 일목요연하게 제공
❍ 한국과 미국, 유럽연합, 영국 등 개별국가가 생산한 북한인권 문서도 정부 및 의회 자료로 분류하여 제공
3. 북한인권정보 플랫폼은 위 자료 중 북한인권 실태에 관한 보고서를 종합보고서와 주제‧권리별(표현의 자유, 구금시설 등) 보고서로 재분류하여 제공함으로써 특정 주제에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4. 북한인권정보 플랫폼은 핵심적인 국제인권조약의 국영문 문서와 함께 유엔인권메커니즘에 대한 간략한 설명도 제공하여 인권문제 전반에 대한 사용자의 기본적 이해를 도울 것이다.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통일 국책연구기관,
|
△북한인권정보 플랫폼 구조도 (제공: 통일연구원)
5. 북한인권정보 플랫폼은 신규 문건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업데이트,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한 지속적인 기능 개선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완될 예정이다. 본 플랫폼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북한인권정보에 쉽게 접근함으로써 관련 연구, 북한인권 개선 활동이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6. 통일연구원은 매년 북한인권백서를 발간하여 국내외적으로 북한인권 실상을 알리고 있다. 통일연구원은 앞으로도 북한 인권 상황의 객관적 조사‧분석뿐만 아니라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국내외의 논의와 활동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할 예정이다.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통일 국책연구기관,
|
△북한인권정보 플랫폼 메인화면 (제공: 통일연구원)
△유엔‧국가‧NGO 북한인권정보 페이지 (제공: 통일연구원)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통일 국책연구기관,
|
△ 실태보고서 페이지 (제공: 통일연구원)